폐교의 주변 환경과 교통수단 및 목적별 통행 데이터를 분석하여 경제성과 교통 편의 성을 모두 갖춘 버티포트의 입지를 선정할 수 있었다. 그중 서울시의 핵심이 되는 한 곳의 폐교를 선정하였으며 이에 맞는 건물 설계와 디자인을 하였고, 사용자에게 편의 성을 제공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였다.
- Role팀장, 입지 선정 데이터 분석, 어플 프로토타입 제작, 보고서 작성
- StackPython, Pandas, Figma
- Work Features -
- 폐교 부지 활용을 통한 사회적 문제 해결
- 지역민을 위한 사회적 기반 시설
- 미래의 포트 입지 확보성
- 머신러닝을 통한 목적별 통행데이터 분석
- 에어택시와 지선노선의 혼용 운영 연계
- 비용적 측면을 고려한 레트로피트식 설계
- 애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 제작
- Work Flow -

- 폐교 데이터 추출 및 전처리 -
‘지방 교육 재정 알리미’에서 제공하는 전국 폐교 데이터를 미활용 데이터만 분류하여 274 개 학교만 추출했다. 공간정보 데이터 오픈 API와 Kakao 개발 API를 활용하여 위경도 데이터를 추출하고 폐 교명의 전처리 진행.
- 오전/오후 시간대 목적별 통행데이터 분석 -
소수의 큰 데이터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평균값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. 이렇게 된다면 분포 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평균값이 도출되기 마련이다. 지역마다 편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 데이터들의 분 포 특성을 고려한 Knee Point 탐색을 이용해 기울기 변화가 가장 적은 평균지점을 찾아 기준점을 설정하였다.

이를 통해 수도권의 절반 이상의 교통 수요를 차지하는 상위 지역들을 뽑을 수 있었고, 이 구역들을 16개로 군집화해 시각화하였다.

- 폐교 선정 데이터와 국토교통부 실증 노선안 통합 -

- 디자인 -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