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oading...
Works

Bitcoin Hashrate 2021

얻은 것

- 공공데이터 수집 및 가공

- Pytorch 기초 모델링

- 모델 파라미터 조정하여 성능 향상 시키기

- Kaggle 경진대회


비트코인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면서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. 현재 까지만 해도 비트코인 채굴 시 발생하는 전력 소모로 인해 장기적으로 본다면 지구 환경에 해를 끼칠 수도 있다고 한다. 또한 미래의 화폐로 인정을 받게 된다면 이 화폐를 사용하여 거래할 시에 딜레이가 없어야 하는데 이것이 현재 시스템에 많은 문제가 되며, 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. 또한 딜레이가 발생하면 '코인 호핑'이라는 공격에도 취약점을 노출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블록 생성 시간이 빠를 수록 보안도 향상된다.

비트코인은 탈중앙화 분산원장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로서 POW(proof of work)라는 작업증명 채굴 시스템을 통해 유지된다. 이 방식은 해싱 과정을 통해 나온 값이 비트코인에서 지정한 채굴 난이도를 통과했다면 블록이 생성되어 채굴자는 그에 따른 보상을 받게 되는 프로세스인데, 이 때 해싱 과정은 지정한 난이도의 수학적 문제를 통과할 때 까지 무작위의 Nonce값을 무한이 대입하게 되며, 이 해시 연산에서 많은 컴퓨팅적 계산 능력이 필요하여 전력 소모가 심각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.

현재까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실험을 통해 기존 채굴 난이도 조정방식보다 오차율을 약 36%나 더 줄일 수 있는 논문 결과도 존재한다. 그래서 이러한 비트코인에서 사용하고 있는 채굴 방식인 Pow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채굴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인 Hash-rate를 예측하는 문제를 선정하고,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여 모델링을 하였다.

bitcoinKaggle
© 2025 Geunyeong Ju. All Rights Reserved.